세그멘테이션
치아와 잇몸을 분리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환자의 치아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
부분 치아만 세그멘테이션 하는 경우(예. 전치부만 셋업하고 싶을 경우 등.), 세그멘테이션 하지 않은 치아는 잇몸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모핑 현상 방지 위해 움직이고자 하는 치아보다 +1 세그멘테이션 합니다.
모핑 현상으로 소구치가 변형된 모습

+1 세그멘테이션한 모습

셋업
투명교정장치 제작 위해 임의로 치아를 움직이는 과정입니다.

호환되지 않는 설정
호환 설정
스페이스
치아 간에 컨택트가 일어나면 치아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컨택트가 되지 않도록 스페이스가 있어야 치아가 움직입니다.
스페이스 만드는 방법
확장
치아 크라우딩 상태에 따라, 치아 뿌리를 포함한
전체 이동 또는 토크 조절을 통해 확장합니다.
IPR
중첩량을 균등하게 배분하여 최종 셋업 한 뒤,
IPR 할 치아와 양을 메모합니다.




#11-21 0.30mm, #13-14 0.3mm, #23-24 0.30mm IPR
추천하는 IPR
법랑질층 최소 두께는 보통 1mm로 절반 정도는 삭제 가능합니다.

레이어 없이 셋업
레이어 사용 셋업
레이어
레이어 없이 셋업하면 인접 치아와 간섭이 생기므로, 반드시 레이어를 사용, 셋업해 주세요.
셋업 프로토콜: 확장 > 정렬 > 축소




시트 선택 방법
시트에 따라 레이어 분할 방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하드 시트지만 사용
(스텝당 1주)
미디엄+하드 시트지 사용
(스텝당 2주)
소프트+미디엄+하드 시트지 사용
(스텝당 3주)
스텝당 0.25mm 이동
스텝당 0.4~0.6mm 이동
스텝당 0.6~1.0mm 이동
하드 시트지는 강력한 탄성 복원력과 치아 이동 효과가 있어 스텝별 이동 목표 달성에 매우 유리
적은 수의 스텝으로 원하는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임상의와 환자 모두 만족도가 높음
스텝당 이동 거리를 늘릴 수 있음
소프트/미디엄보다 강하여 파손 위험이 낮음
적은 이동의 경우, 하드보다 탄성이 약하고 교정장치가 헐거워져 치료효과가 떨어질 수 있음
치아 이동이 크더라도 쉽게 착용 할 수 있음
스텝당 이동거리가 작아 제작해야 할 교정장치가 많아져 제조원가가 높음
스텝당 모델 수는 줄어드나, 제작해야 할 교정장치 수가 많아져 제조 공정이 복잡함
교정장치 두께가 동일하여 사용 안내 및 착용이 용이함
두 교정장치의 두께가 비슷하여 약간 혼동스러움
교정장치 두께가 다양하여 사용 안내 및 착용에 혼동을 줌
스텝 나누는 방법



전체 치료기간 산정 방법
전체 스텝 수
= (상하악 스텝 수가 다를 경우, 긴 스텝 기준)
x 시트지 선택에 따른 한 스텝 당 주
make the future of digital orthodontic appliances for everyone
Copyright © diorco. co., ltd. All right reserved dentone@ezdentone.com